본문 바로가기

Improvement/인공지능개발10

[인공지능 개발] #11. 넘파이 배열(2) 배열 슬라이싱import numpy as npa = np.array([[0, 1, 2, 3], [4, 5, 6, 7]])a[출력]array([[0, 1, 2, 3], [4, 5, 6, 7]]) a[0, :]   #1행 모든 열[출력]array([0, 1, 2, 3]) a[:, 1]   #모든행 2열[출력]array([1, 5]) a[1, 1:]   #2행 2열[출력]array([5, 6, 7]) a[:2, :2]   #1-2행 1-2열[출력]array([[0, 1], [4, 5]]) 실습 예제m = np.array([[0, 1, 2, 3, 4], [5, 6, 7, 8, 9], [10, 11, 12, 13, 14]]) 1. 7 인덱싱print(m[1,2]) 2. 14 인덱싱print(m[2,4])   # .. 2024. 10. 20.
[인공지능 개발] #9. 딥러닝을 위한 기초 수학(2) 평균제곱 오차(Mean Squared Error, MSE)(예측값 - 실제값)의 제곱 / n*계산을 조금 더 쉽게 하기 위해 평균 제곱 오차를 사용한다. 기울기 a가 커질 수록 오차는 무한대로 커지고 a가 작아질수록 오차는 무한대로 커진다.이러한 관계를 '이차 함수 그래프'로 표현할 수 있다. 기울기 a와 오차의 관계: 적절한 기울기를 찾았을 때 오차가 최소화 된다. 경사하강법미분 기울기를 이용해 오차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*오차와 a의 관계에서 미분 값이 0인 지점을 찾는 것! 경사하강법의 과정1) a1에서 미분을 구함2) 기울기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a2에서 미분을 구한다.3) 반대방향 a3의 미분을 구한다.4) a의 미분이 0이 될때까지 반복한다. *경사하강법은 이 반복으로.. 2024. 10. 20.
[인공지능 개발] #8. 딥러닝을 위한 기초 수학(1) 딥러닝의 연산 원리대표적으로 선형 회귀와 로지스틱 회귀를 알아야 한다. 일차 함수함수는 두 집합 사이의 관계를 나타냄변수 x와 y가 있을 때, x가 변하면 y는 어떤 규칙으로 변하는 지를 나타내줌기본식: y= ax +b  a는 기울기, b는 절편을 의미 딥러닝의 원리는 x가 주어지고 원하는 y 값이 있을 때, 가장 적절한 a와 b를 찾는 것이다!선형 회귀 분석가장 훌륭한 예측선 긋기선을 잘 그어 놓으면,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. 단순 선형 회귀: 변수가 1개다중 선형 회귀: 변수가 여러개 단순 선형 회귀공부시간과 성적의 상관 관계2시간 -> 81점4시간 -> 93점6시간 -> 91점8시간 -> 97점 x: 공부시간y: 성적y= ax + b 라고 가정할 때최소제곱법을 통해 a를 구할 수 있다. a = {(.. 2024. 10. 19.
[인공지능 개발] #7. 머신러닝 규칙기반규칙 기반으로 돌아가도록 프로그래밍 된 시스템효율적이지만 한계가 존재함오류의 위험이나 고정된 결과가 있을 때 활용조건문 형식의 코딩 머신러닝라벨링이 되지 않은 데이터로 업무를 분류하고 수행됨고정된 규칙이 아니라 스스로 새로운 규칙을 학습함단순 규칙을 적용하기가 어려울 때, 데이터가 급변할 때, 자연어 처리가 필요할 때 활용머신러닝의 정확도(예측률)는 얼마나 정확한 선을 긋냐에 따라 정해진다. 예제환자의 생존율 예측하기 실습환자 데이터명: data_new.csv #딥러닝 구동에 필요한 keras 함수 호출from tensorflow.keras.models import Sequentialfrom tensorflow.keras.layers import Dense #필요한 라이브러리 호출import nu.. 2024. 10. 19.
[인공지능 개발] #6. 파이썬 기초(5)_함수 정의 1. 함수 정의'def'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. - def hello():         print("Hello, World")        print("hi!")  hello()출력: Hello, World         Hi 2. 매개변수와 반환값- def add1():        print(3+4)  add1()출력: 7 - def add(d1, d2):        return d1 + d2  result = add(13, 15)  print("합계:", result)출력: 28 [연습문제]세개의 숫자를 곱한 값을 반환받는다.세개의 숫자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숫자를 인수로 넘겨준다.함수로 호출하여 결과를 표시한다. 2024. 10. 13.
[인공지능 개발] #5. 파이썬 기초(4)_반복문(while/for) 1. While문조건이 참이라면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. - x = 1  print(x)출력: 1 [기존 코드에 1씩 증가하는 x]- x = x + 1  # x += 1 와 같다.  print(x)출력: 2 - x = 0  while x        print("x is: ", x)       x += 1출력: x is: 0        x is: 1        x is: 2        x is: 3        x is: 4  2. for 문for문은 시퀀스의 각 항목에 대해 반복한다. - print(list(range(5))출력: [0, 1, 2, 3, 4] - for i in range(5):       print("i is:", i)  print("End")출력: i is: 0        .. 2024. 10. 13.
반응형